설립 23년차
2000년 03월 03일
1312명 재직
직원 수
( 기준)
대상아님
기업형태
매출액(3년 평균)
Blue Light
Red Light
B+
[정보통신/과학/스포츠] 2차 전지
전류와 물질 사이의 산화환원과정이 여러 번 반복가능한 물질을 사용하여 만든 전지
[정치/사회/문화] 미디어믹스
광고계획에서 광고 메시지가 구매자에게 가장 효율이 높은 매체로 도달할 수 있도록 광고편성을 결정하는 일
[정보통신/과학/스포츠] 마이데이터
은행 계좌와 신용카드 이용내역 등 금융데이터의 주인을 금융회사가 아니라 개인으로 정의하는 개념
최근 면접
질문
지원분야에서 구체적으로 하고 싶은 일이 있다면
어떤 일을 창의적으로 해결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단체 생활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있다면?
사회경험을 이야기 해주세요 (아르바이트 등)
가장 큰 성취감을 맛본 경험에 대해서 이야기 해주세요
면접꿀TIPS
창의 면접에서는 지원자의 논리적 사고력을 평가하기 위해 지원자의 발표 내용 중 주장, 혹은 근거를 공격하면서 논리를 흔든다. 이는 지원자가 얼마나 논리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려는 것이기 때문에 질문을 받으면 본인의 생각을 근거와 함께 최대한 논리적으로 설명하면 된다. 그런데 많은 취준생들이 조금이라도 본인의 주장을 흔드는 질문을 받으면 당황해 감정적으로 대응하거나 논리적이지 못한 답변으로 둘러대는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감점을 받을 여지가 크다. 반드시 논리적인 답변으로 대응해야 한다. 만약 답변이 생각나지 않는다면 "전 이렇게 생각했는데 말씀하신 방향으로도 생각할 수 있겠네요. 그건 입사하고 나서 열심히 배우고 고민해 보겠습니다"와 같이 조금은 능글맞게 넘어가는 모습을 보이면 감점을 피할 수 있다. 절대 감정적으로 반박해서는 안 된다!+
토론 면접에서는 중간중간 발표가 많이 있습니다. 한 사람씩 돌아가면서도 자주 하고 팀 대표, 전체 대표로 발표할 기회도 주어지죠. 이 발표 기회를 잘 활용해야 합니다. 면접관들에게 여러분이 얼마나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그것을 잘 보고할 수 있는지 어필할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입니다. 개인 발표 시간뿐만 아니라 팀 대표로 발표하거나 전체를 대표해서 발표할 기회가 있으면 최대한 활용해 여러분이 얼마나 논리적으로 발표를 잘할 수 있는지 어필하도록 하세요.+
우리 회사의 직무에 대한 여러분만의 생각을 만드는 것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외운 팩트들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닌 여러분만의 인사이트를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면접관들이 묻는 것도 바로 여러분의 생각이지 팩트들이 아닙니다. 즉석에서 답변을 만들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미리 회사와 직무에 대한 스스로의 생각을 정리해 놔야 합니다. 잘 정리해 놓는다면 면접에서 떨지 않고 말하기만 해도 미리 준비하지 않은 경쟁자들에 비해 훨씬 좋은 답변으로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
회의실 면접장으로 들어가기 전 사무실 분위기가 어떤지 잠깐 느낄 수 있다. 대기하면서도.. 큰소리가 오가는 지, 스몰톡시간이어서 떠드는지,, 등등 그리고 구조는 어떻게 되어있는지 보는 것도 좋다.+
면접은 어디까지나 회사에 들어가기 위한 평가를 받는 곳이라는 걸 명심해야 합니다. 즉, 면접 전형 내내 있을 발표 때 '회사에서 보고하는 형식'으로 발표를 해야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보고하는 형식의 발표란 짧고 굵게 핵심적인 이야기만 하고 듣는 이로 하여금 이해하기 쉽게 구조화해서 발표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