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아바
당신이 도전할 수 있는 기회, 25만개!
청년들의 취업과 독립을 지원하고
주거 부담을 덜어낼 수 있게
2021년에도 다양한 제도를 도입·개선합니다.
국가의 미래인 우리 청년의 어려운 삶에
정부가 큰 보탬이 될 수 있도록
더욱 정교한 정책으로 함께 하겠습니다.
사진원본_뉴스1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국민을 위해
취업성공패키지와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을 통합
2021년 1월 1일부터
국민취업지원제도를 시행합니다.
소득 및 재산 수준에 따라 I 유형과 II 유형으로 운영,
청년을 중심으로 저소득 구직자,
고용중단 여성, 중장년층 등
취업 취약계층이라면 누구나
취업지원서비스와 생계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취업지원 서비스와 구직촉진수당을 결합해
월 50만원씩x6개월간
최대 300만원 지급합니다.
✔중위 소득 50% 이하,
✔재산 3억원 이하면서
✔최근 2년 이내에 100일 이상 일을 한 경험이 있다면
‘요건 심사형’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2년 이내 일을 한 경험이 없는 경우에도
소득·재산 기준을 충족하면
예산 범위 내에서 ‘선발형’으로 지원합니다.
취업 어려워 소득이 불안정한 상황 고려해
선발형 청년 기준 더 완화합니다.
선발형에 지원한 18~34세 청년이라면
소득기준 120% 이하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
소득기준이 Ⅰ유형 기준과 근접한
취업취약계층을 위해 Ⅱ유형을 별도로 선발,
구직 활동에 필요한 취업활동비용
최대 265만원을 지원합니다.
*훈련장려금 포함
[신청]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 방문 신청
또는 국민취업제도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
[문의]
고용노동부 콜센터 ☎ 1350
[자세히 보기]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운영, 정책뉴스, 정부 보도자료, 설명자료, 국정과제, 대한민명 정부 소개 등 제공
www.korea.kr
고용노동부는 15일 국무회의에서 구직자 취업촉진 및 생활안정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과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등 2개 법령안이 심의,의결됐다고 밝혔다.
www.korea.kr
학업과 구직으로
부모님과 떨어져 사는 청년들의
주거 부담 덜어드리기 위해
1월 1일부터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을 시행합니다.
[혜택]
소득인정액과 선정기준은
부모와 청년을 합한 가구 수와
부모가 사는 지역으로 적용하여 산정하되
임차급여 또는 실제 지불하는 임차료는
부모와 청년에게 각각 별도로 지급합니다.
*가구별 지원상한액(원/월)
[대상]
■ 소득 및 연령 기준
✔해당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45% 이하인
✔주거급여 수급가구의
✔만 19세 이상 만 30세 미만 미혼 청년 대상
중위소득 45% (원/월)
■ 거주지 기준
✔부모님과 청년의 주민등록상 시·군이 다르고
✔본인 명의의 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임차료 지불한 청년
*광역시 관할구역 내에 있는 군 제외
*동일 시·군이라도 대중교통 이용 가능성, 소요시간 등
부득이한 사유로 보장기관이 인정하는 경우 예외
*주거급여 자가진단 하러 가기▼
[신청]
신분증과 통장사본 등을 지참하여
부모님 거주지 주민센터 방문 신청
*온라인 신청은 2021년 상반기
‘복지로(bokjiro.go.kr)’에서 시행 예정입니다.
*대리 신청 시 위임장, 수급권자의 신분증 사본 및 대리인 신분증 반드시 지참
[문의]
주거급여 콜센터 ☎ 1600-0777
[자세히 보기]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내년부터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이하 청년 분리지급)을 시행하고 12월1일부터 사전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청년 분리지급은, 취학,구직 등을 목적으로 부모와 떨어져 거주하는 청년의 경우,
www.myhome.go.kr
일하는 청년의 목돈 마련을 위해
2021년부터 청년저축계좌의
지원규모 확대합니다.
✔지원 인원 5,000명 → 13,400명
✔모집 횟수 연 2회 → 연 4회
*상세 신청 일정 등은 추후 모집 공고 시 안내 드리겠습니다.
[혜택]
매월 10만원씩 저축하면
정부에서 근로소득장려금 30만원을 지원,
3년 후 만기 시 총 1,440만원 수령 가능
[대상]
✔소득 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인
✔주거·교육수급 가구 및 차상위 계층 가구의
✔만 15~39세 청년 근로자
중위소득 50% (원/월)
지원 요건을 반드시 지켜야 하며,
이를 어길 시 중도환수 해지됩니다.
(본인 적립금만 지급)
① 3년간 매월 10만원 저축 및 근로활동 지속
② 국가공인자격증 1개 이상 취득
③ 연 1회씩 총 3회 교육 이수
[신청]
신분증과 도장을 지참해
거주지 주민센터 방문 신청
[문의]
거주지 주민센터
[자세히 보기]
“청년의 생활이 나아집니다.” - 「제1차 청년정책 기본계획」복지 분야 주요 내용 - 희망저축계좌Ⅰ,Ⅱ(가칭) 신설로 ‘25년까지 청년 10만 명 자산형성 지원 취약청년 긴급자금 :
www.korea.kr
사진 원본 뉴스1
코로나19를 ‘함께’ 극복하면서
우리는 ‘함께 사는 길’을 찾았습니다,
위기일수록 서로의 손을 잡고 함께 가야 합니다.
불편을 참고 이웃을 먼저 생각해 주신
국민 여러분의 노력이 헛되지 않도록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반드시. 일상의 회복으로 보답하겠습니다.
2021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
검색어로 정책 찾아보기 ▼
2021년부터 보기 검색 2021년 부터 달라지는 분야별 정책 2021년 부터 달라지는 부처별 정책 2021년 부터 달라지는 시기별 정책
whatsnew.mosf.go.kr
원문출처 : 대한민국정부 블로그